함양 오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함양 오씨는 오첨을 도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시조 오광휘는 고려 시대 좌복야를 지냈으며, 함양부원군에 봉해졌다. 본관인 함양은 경상남도 함양군의 지명으로, 신라 시대부터 여러 이름으로 불리다가 고려 시대에 함양군으로 개칭되었다. 함양 오씨는 조선 시대에 문과 급제자 12명, 무과 급제자 8명, 생원시 합격자, 진사시 급제자를 배출했다. 주요 인물로는 오치행, 오응, 오건, 오비, 오극성, 오연, 오장, 오익창 등이 있으며, 현대 인물로는 소설가 오정인, 국회의원 오양순, 오영환 등이 있다. 함양 오씨는 2015년 기준 35,846명이 있으며, 집성촌은 경상남도 진주시, 경상북도 영양군, 황해도 송화군 등에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함양 오씨 - 오영환 (1988년)
오영환은 소방공무원 출신으로 21대 국회의원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며, 더불어민주당 최연소 당선자이자 최초의 소방공무원 출신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으나, 이후 불출마를 선언하고 소방관 복귀 의사를 밝혔으며 새로운물결에 입당하여 선거대책위원장을 맡았다. - 함양 오씨 - 오기열
오기열은 3·1 운동 참여와 조선독립청년의용군 조직 등 독립운동에 헌신하였고, 해방 후 제헌 국회의원과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조사위원으로 활동하며 친일 잔재 청산에 기여한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이다.
함양 오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유형 | 씨족 |
국가 | 한국 |
지역 | 함양군 |
창시자 | (오광휘) |
로마자 표기 | Hamyang O ssi |
한자 표기 | 咸陽 吳氏 |
기원 | |
시조 | (오광휘) |
설명 | 오광휘를 시조로 한다. |
인구 | |
2015년 | 35,846명 |
주요 인물 | |
인물 | 오치행 오응 오건 오비 오극성 오장 오익창 오찬조 오기열 오지철 오정규 오영환 |
집성촌 | |
지역 | 경상북도 영양군 경상남도 진주시 미천면 황해도 송화군 |
참고 자료 | |
참고 자료 | Encyclopedia of Korean Local Culture by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함양 오씨 Academy of Korean Studies 함양오씨 咸陽吳氏 KOSIS KOSIS 통계 자료 |
2. 역사
吳瞻|오첨중국어은 500년(지증왕 1)에 중국에서 신라로 건너왔다가 다시 중국으로 돌아간 인물이다. 吳瞻|오첨중국어은 태백왕의 25세손이자 초나라 재상 오기(吳起)의 45세손이다.[1] 오첨의 둘째 아들 吳膺|오응중국어은 나이가 어려 중국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신라 함양에 정착하여 살았다.[1]
함양(咸陽)은 경상남도 함양군의 지명이다. 신라 때는 속함군(速含郡) 또는 함성(含城)이라 하였다가,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천령군(天嶺郡)으로 개칭하였다. 고려 초에는 허주(許州)로, 983년(성종 2)에 허주도단련사(許州都團練使)로 승격되었으나, 1010년(현종 1) 함양군으로 개칭되었다. 1172년(명종 2)에 함양현으로 강등되었다가, 1395년(태조 4) 함양군으로 승격하였다. 1629년(인조 7)에 현으로 바뀌었고, 1729년(영조 5) 함양부(咸陽府)로 승격하였다가 1788년(정조 12) 다시 함양군으로 강등되었다. 1895년(고종 32) 진주부 함양군이 되었다가 1986년 경상남도 함양군이 되었다.
함양 오씨(咸陽吳氏) 시조 吳光輝|오광휘중국어는 도시조 오첨의 24세손 吳賢弼|오현필중국어의 둘째 아들 吳良|오량중국어의 4대손이다. 오광휘는 고려시대에 좌복야(左僕射)를 지냈고, 흥위위상장군(興威衛上將軍)으로서 거란군을 물리친 공을 세워 추충정란광국일등공신(推忠靖亂匡國一等功臣)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에 올랐으며, 함양부원군(咸陽府院君)에 봉해졌다고 한다.[1]
3. 본관
4. 인물
5. 과거 급제자
함양 오씨는 조선 시대에 문과 급제자 12명, 무과 급제자 8명, 생원시 급제자 12명, 진사시 급제자 10명을 배출하였다.[5]
5. 1. 문과
오건[5], 오경지, 오릉, 오명증, 오상문, 오석규, 오응, 오장, 오적, 오전, 오첨경, 오형5. 2. 무과
다음은 조선시대 무과 급제자들이다.이름 |
---|
오극성(吳克成) |
오돌시(吳乭屎) |
오명변(吳明變) |
오무변(吳霧變) |
오변생(吳邊生) |
오엇거리(吳旕巨里) |
오영발(吳穎發) |
오윤성(吳允成) |
5. 3. 생원시
인물 | 연도 | 왕조 | 비고 |
---|---|---|---|
오담 | 1555년 | 명종 | |
오덕윤 | 1615년 | 광해군 | |
오도원 | 1624년 | 인조 | |
오두채 | 1637년 | 인조 | |
오두형 | 1637년 | 인조 | |
오면수 | 1666년 | 현종 | |
오명증 | 1690년 | 숙종 | |
오빙 | 1669년 | 현종 | |
오상옥 | 1714년 | 숙종 | |
오응 | 1606년 | 선조 | |
오전 | 1651년 | 효종 | |
오첨경 | 1684년 | 숙종 |
5. 4. 진사시
오건(吳健), 오도한(吳道漢), 오상주(吳相胄), 오섭(吳涉), 오세영(吳世英), 오영훈(吳永勳), 오운(吳霣), 오익창(吳益昌), 오인(吳寅), 오첨선(吳添善)[5]6. 항렬자
13세 | 14세 | 15세 | 16세 | 17세 | 18세 | 19세 | 20세 | 21세 | 22세 |
---|---|---|---|---|---|---|---|---|---|
이(以) | 삼(三) | 학(學) | 명(命) | 호(浩) | 상(相) | 찬(燦) | 곤(坤) | 석(錫) | 식(植) |
○세손 | 25세 | 26세 | 27세 | 28세 | 29세 | 30세 | 31세 | 32세 | 33세 |
---|---|---|---|---|---|---|---|---|---|
항렬자[4] | 정(廷) 재(載) 중(中) | 용(鏞) 종(鍾) 순(淳) | 락(洛) 연(淵) 우(羽) | 병(秉) 수(秀) 동(東) | 필(必) 헌(憲) 영(寧) | 규(圭) 혁(赫) 철(喆) | 회(會) 수(銖) 선(善) | 일(一) 영(永) 우(雨) | 림(林) 춘(春) 걸(杰) |
7. 집성촌
8. 인구
연도 | 가구 | 인구 |
---|---|---|
1985년 | 5,354가구 | 22,158명 |
2000년 | 8,270가구 | 26,339명 |
2015년 | 35,846명 |
참조
[1]
웹사이트
함양 오씨
https://terms.naver.[...]
Encyclopedia of Korean Local Culture by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2]
서적
Academy of Korean Studies 함양오씨 咸陽吳氏
http://terms.naver.c[...]
Academy of Korean Studies
[3]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24
[4]
웹사이트
오씨(吳氏) 본관(本貫) 함양(咸陽)입니다.
http://www.findroot.[...]
2022-07-27
[5]
한국학중앙연구원
LST_152_669_028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